![]() |
|
|||
![]() |
|
|
|
![]() |
학회 소식 |
2017 추계국제학술대회 (2017년 10월 19-20일, 더케이서울호텔) |
2017 추계국제학술대회가 약 1,200여명의 약학인들과 신약개발 관계자분들이 참석한 가운데 32개 세션에서 147명의 초청 강연, 571편의 포스터 발표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
![]() |
![]() |
![]() |
![]() |
제31회 약의날 행사 (2017년 11월 17일,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 | ||
|
![]() |
AFPS 참가 및 2018 추계국제학술대회 안내 (2017년 11월 20~22일, 중국 셔먼) |
2017년 11월 20일부터 22일까지 중국 셔먼에서 열린 아시아 약제학회 AFPS(Asia Federation for Pharmaceutical Sciences)에 문애리 회장이 참석하였다. 해외 약학회 회장 및 관계자에게 2018년 10월 제주도에서 개최되는 대한약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를 알리고 아시아 여러 약학회의 연자로 구성한 Asian scientists session 추진을 논의 하였다. |
![]() |
2017 FIP 서울총회 조직위원회 해단식 (2017년 12월 1일, 임피리얼팰리스호텔 셀레나홀) |
2017 FIP 조직위원회 해단식을 통해 그간 행사를 위해 달려온 조직위원회와 자원봉사자들의 노력에 대한 감사를 표하고 지난 시간을 추억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대회장들과 위원장들의 인사말이 끝난 후 감사패와 공로상 전달 시간을 가졌다. 공로상에는 조찬휘 대회장, 문애리 대회장을 비롯해 그 외 53명이 수상하였고 조직위 및 자원봉사자들과 참여 업체에 대한 시상과 감사패 전달이 이어졌다. 이날 해단식은 FIP총회의 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약학회와 약사회가 앞으로 더욱 발전하고 나아가야 함을 다짐하는 자리가 됐다 | |
![]() |
![]() |
||||||
2017년 대한약학회 송년회 (2017년 12월 15일, 압구정동 다다이자카야) | ||||||
|
![]() |
||
2017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 (2017년 12월 20일, 국립과천과학관) | ||
|
![]() |
2018년도 한독제석재단 연구비 지원 심사 (2018년 1월 4일, 약학회) |
2018년도 한독제석재단 연구비 지원 심사를 통해 총 3명의 후보자를 한독제석재단에 추천하였다. 한독제석재단의 최종 심사를 통해 의약학술부문에서 대한약학회와 대한의학회에서 각 1명씩, 의료인문학부문에서 1명이 최종 선정된다. ※ 참석자: 문애리 회장, 이창훈 총무위원장, 천영진 재무위원장, 홍진태 사무총장(위임), 강태진 총무위원장(위임), 이미옥 학술위원장(위임) |
![]() |
2017년도 재무/행정 감사 (2018년 1월 11일, 약학회) |
2017년도 재무/행정 감사 결과 2017년 사업실적 및 결산서 내용이 적정함을 확인하였다. 감사 건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1)국제회원 확보를 위해 영문 홈페이지에 결제시스템 구축이 필요함, (2)학술대회 운영 방식이 변화함에 따라 춘계 학술대회의 경우 회원 참여 등에 지장이 없도록 준비가 필요함, (3)평생회원 제도의 재정비를 권고함 ※ 참석자: 서영거 감사, 손의동 감사, 천영진 재무위원장, 이창훈 총무위원장 |
![]() |
||
4대 학술단체장 정기간담회 (2018년 1월 15일, 오크우드호텔) | ||
|
![]() |
집행위원회 워크샵 (2018년 1월 18-19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 |
집행위원회 워크샵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진행하였다. 2018년도 춘·추계 학술대회의 차별화 개최, 제1차 신약개발 단계별 핵심 교육 프로그램 구성, APR 편집위위원장 공모제 안건을 논의하였고 2018 추계국제학술대회 대관 장소를 체크하였다. ※ 참석자: 문애리 회장, 김상건 · 이경림 · 이유미 · 이익수 · 한정환 부회장, 홍진태 사무총장, 이창훈 · 강태진 총무위원장, 이미옥 학술위원장, 이정원 · 이화정 · 조사연 학술부위원장, 이석용 · 정낙신 APR편집위원장, 천영진 재무위원장, 최선 국제협력위원장, 이호영 정보위원장, 정이숙 · 조동환 홍보위원장, 박현성 회원위원장, 김정애 교육위원장, 정기형 · 하현아 사무국 직원 |
![]() |
![]() |
제3차 정보위원회 (2018년 1월 30일, 약학회) |
영문홈페이지에 결제 시스템을 추가하여 해외 참가자의 사전등록과 초록접수가 가능한 홈페이지를 구축하기로 하였다. ※ 참석자: 이호영 위원장, 이효종 간사, 사무국 정기형 팀장, 인포랑 김승현 과장 |
![]() |
||
제5차 학술위원회 회의 (2018년 2월 1일, 약사회 2층 소회의실) | ||
|
![]() |
향백년 학술기금 규정 검토 미팅 (2018년 2월 1일, 약학회) |
49대 집행부에서 출연한 학술기금 “향백년 학술기금”의 세부 규정을 정하고 차기 이사회에 상정하기로 하였다. ※ 참석자: 문애리 회장, 홍진태 사무총장, 천영진 재무위원장, 손의동 前회장, 이혜숙 前사무총장 |
![]() |
R&D 전략위원회의 (2018년 2월 12일, 약학회) |
한국연구재단의 보호육성사업 주제 선정 건에 대해 논의하였다. ※ 참석자: 한정환 위원장, 김진석 · 나동희 · 최현진 부위원장, 서동완, 조효선 간사 |
![]() |
||
3.1문화재단 제59회 3.1문화상 학술상 수상 (2018년 3월 1일 서울가든호텔) | ||
|
![]() |
||
대한약사회 제44회 약사금탑상 수상 (2018년 3월 8일, 약사회 4층 강당) | ||
|
![]() |
분과학회 신설에 대한 소위원회 논의 (2018년 3월 19일, 약학회) |
약사커뮤니케이션 분과학회(분과회장: 아주대 이숙향 교수) 신설 요청 건이 접수되어 기존 19개 분과학회에 분과 신설에 대한 의견을 요청한 후 결과를 취합하여 소위원회에서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는 차기 이사회에 보고된다. ※ 참석자: 문애리 회장, 홍진태 사무총장(위임), 이창훈 · 강태진 총무위원장, 천영진 재무위원장
|
![]() |
||
R&D전략위원회-학술위원회 합동회의 (2018년 3월 20일, 약학회) | ||
|
![]() |
||
제5차 이사회 및 제6차 집행위원회 (2018년 3월 27일, 약사회 대회의실) | ||
|
![]() |
||
약학회지 특별호 발간 기념식 (2018년 3월 27일, 약사회 대회의실) | ||
|
![]() |
||
의학신문·일간보사 제41회 의약평론가 수상 (2018년 5월 9일, 한국프레스센터 20층 프레스클럽) | ||
|
![]() |
||||
지부, 분과학회 소식 | ||||
영남지부 | ||||
|
![]() |
호남지부 |
(사)대한약학회 호남지부(지부장: 이익수 교수, 전남대) 학술대회 및 총회가 지난 2017년 11월 16일(목) 전남대학교 약학대학 1호관에서 열렸다. | |
![]() |
![]() |
약품분석학 분과학회 |
대한약학회 약품분석학 분과학회(회장: 이혜숙 교수, 가톨릭대)는 지난 2018년 1월 31일 충북 오송 C&V 센터에서 ‘2018년도 제6회 대한약학회 약품분석학 분과회 동계심포지엄 및 정기총회’를 개최하였다. 올해로 6회째를 맞이한 이 심포지엄은 약품분석학분과에서 매년 추진하는 가장 큰 학술행사로서 학계 및 산업계의 약품분석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의 학술 발표를 통하여 진취적 토론과 교류의 장이 되고 있다. “Contemporary Pharmaceutical Analysis: Balance between Industry and Academia”라는 주제로 개최된 금년의 심포지엄에는 분과학회 소속 교수진, 국내외 연자 및 대학원생을 포함한 연구진과 후원업체 관계자 등 총 180 여명이 참석하여 대성황을 이루었다. 특히, 대학원생과 신진연구인력의 80여 편에 이르는 구두 및 포스터 발표를 통하여 분석분야의 핵심 인재로 발전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는 의미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
![]() |
![]() |
약품화학 분과학회 |
대한약학회 약품화학 분과학회(회장: 정낙신 교수, 서울대)에서는 지난 2018년 1월 29일부터 2박 3일간 “2018년 약품화학 분과학회 동계 워크샵”을 개최하였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신융합시대의 요구에 맞추어 대한약학회 약품화학 분과회원들 간의 공동연구 증진 방안 모색 및 신약개발 전략에 대해 세 분의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신임 회장과 임원진의 분과학회 운영비전 발표 및 분과학회 발전 방안에 대한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