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약학사분과학회 창립 기념심포지엄: 한국 약학의 역사 I(2014. 4. 18.)
[Session I]
1. 약학교육제도사 및 약학사분과학회의 나아갈 길(심창구)
2. 약사제도 변천사(주승재·주경식)
3. 한국 약업 100년의 역사(이종운)
4. 신약개발사(이종욱)
[Session II]
1. 한국 GMP 발전사(백우현)
2. 한독의약박물관사(이경록)
3. 축사 및 일본약사학회 소개(Kiichiro Tsutani)
4. 축사 및 중국 약학사학회 소개(Hao, Jinda)
================================
제2회 한국 약학의 역사 II(2014. 10. 23.)
1. 한국인 최초의 약대학장, 도봉섭(김진웅)
2. 약학대학입문자격시험(PEET)의 어제와 오늘(김희두)
3. 약품의 품질관리와 연구개발에 사용되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와 검출기의 국내보급에 대한 36년의 경험(윤근성)
4. 117년 제약보국 동화약품(윤도준)
================================
제3회 한국 약학의 역사 III(2015. 4. 23.)
1. 한국 약학교육 6년제의 역사(정규혁)
2. 서울대병원 약제부의 역사(노환성)
3.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의 역사(이강추)
4. 조선약학교와 3.1운동(심창구)
================================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공동심포지엄: 근대약학교육기관 설립 100주년(2015. 6. 12.)
1. 근대약학교육사 I: 조선약학교에서 경성약학전문학교까지(심창구)
2. 근대약학교육사 II: 사립서울약대에서 국립서울대약대까지(이상섭)
3. 일본 근대약학교육사(Okuda Jun)
4. 천연물과학연구소의 역사(이은방)
5. 근대약학교육의 발전(김병각)
================================
제4회 약학 100년 한국 약학의 역사 IV(2015. 10. 22.)
1. 한국 근대약학교육 100년의 역사(심창구)
2.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略史(허근)
3. 중대 약대 62년사(손동헌)
4. 현대 약학의 아버지, 녹암 한구동 박사의 생애와 업적(이승기)
5. 약사회 100년의 발자취(서병준)
제5회 한국 약학의 역사 V(2016. 4. 18.)
1. 조선대학교 약학대학의 역사(최준식)
2. 근대 전통신약 이명래고약의 역사(이영남)
3. 신약개발과 약학대학 연구비의 역사(정기화)
4. 약무행정조직의 변천사(이재현)
================================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공동심포지엄: 녹암 한구동 교수의 생애와 업적(2016. 6. 9.)
1. 녹암 한구동의 생애(이상섭)
2. 녹암 한구동의 업적(심창구)
================================
제6회 한국 약학의 역사 VI(2016. 10. 19.)
1. 대한약학회사(박정일)
2. 세브란스병원에서의 약사교육사(박형우)
3. 일제강점기 인삼연구의 특질에 대하여(신창건)
4. 동아제약의 역사(김민영)
================================
제7회 한국 약학의 역사 VII(2017. 10. 19.)
1. 덕성여대 약대의 역사(권순경)
2. 충북대학교 약대의 역사(이명구)
3. 내가 본 성대 약대생들의 4.19 혁명 참여(장우성)
4. 예술 속의 약학(허문영)
================================
제8회 한국 약학의 역사 VIII(2018. 4. 20.)
1. 북한의 약학교육과 약사제도(박태춘)
2. 약인 이을호(이영남)
3. 한국약학사 관련문헌 소개(김진웅)
================================
제9회 한국 약학의 역사 IX(2018. 11. 6.)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약학역사관 공동주최 - 우봉약학전시관 개관 1주년 기념심포지엄
1. 우봉약학전시관의 1년(박정일)
2. 우리나라 의약품 규제기관의 역사(손여원)
3. 코르티손의 역사와 개발 주역들(김영식)
4. 학생 농촌활동의 역사: ‘소’모임의 활동을 중심으로(신영호·윤웅찬)
================================
제10회 한국 약학의 역사 X(2019. 4. 25.)
1. Poisons and medicines of Tempyo Era(729-767) in Japan(Funayama S.)
2. 약업신문의 역사(이종운)
3. 신약개발 관련 사업의 발전사 - 실험동물에서 신약클러스터 구축까지(천병년)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