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숙명여대 약학과, 종합대학으로 승격됨에 따라 약학대학으로 승격 법의학실험소를 국립과학수사연구소로 개편
02. 동덕여자대학에 약학과 설치
1954
11. 22대한약사회 창립
10. 16예회: 학술발표 4편
07. 06약학회 산하에 5분과회 설치 (약품분석, 약물학, 위생화학, 생화학, 약화학)
06. 05제3회 총회 및 학술대회(전북 이리 남성고), 회장: 한구동 학술발표, 통속강연, 특별강연 등 33편
04. 13이화여대 의약대학으로부터 약학대학(약학과) 독립
02. 09덕성여자대학 약학과 신설
02. 조선대학 및 대구대학에 약학과 신설
1953
05. 31제2회 총회 및 학술대회(부산대 약학대학 마산 소재), 회장: 한구동 학술발표, 통속강연, 특별강연 등 42편
02. 중앙대, 성균관대, 부산대 및 효성여대에 약학대학 및 숙명여대 약학과 신설
01. 약학회지 제2권 제1~2합호(대한약학회 발행)
1952
01. 11효성여대 약학과 신설
1951
12. 31이화여대 행림원을 의약대학으로 개칭(약학부 약학과)
12. 16대한약학회 창립 제1회(5주년) 총회 및 학술대회(부산시청 회의실), 회장: 한구동 학술발표 51편, 특별강연 4편
11. 27서울대 약대(부산시)에서 한구동 등 17명이 학회 활동 재개를 협의
1950
09. 서울약학대학, 국립 서울대학교에 편입되었으며 대학원 과정 신설(석사 및 박사)
06.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 약학과 설치
1949
12. 31국립 서울대학교 생약연구소를 서울대학교 생약연구소로 개칭
03. 정부조직법에 따라 국립화학연구소를 보건부 산하 중앙화학연구소로 개편
1948
08. 15경성부 위생시험소를 서울시 위생시험소로 개칭
03. 약학회지 제1권 제1호(조선약학회 발행) 발간
1946
12. 14예회: 학술 발표 6편
08. 22경성대학 생약연구소를 국립 서울대학교 생약연구소로 개칭
04. 13서울약대에서 36명이 참석하여 조선약학회 창립총회를 가짐, 회장: 도봉섭
1945 ~ 1904
1945. 08조선약제사회 창립 경성약전을 사립 서울약학대학으로 개편 이화여대에 약학과 신설 경성대학 생약연구소 발족 위생시험소를 미국군정청 보건후생부 국립화학연구소로 개칭 경성부 위생시험소 설립(시청 내) 구 법무부 행형과 지문계(1904년 설치)를 법의학실험소로 개편
1944. 이남순,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일본 동경대학에서 약학박사 학위 취득
1942. 10. 11조선약학회 30주년 기념 총회 개최
1939. 12. 27경성제국대학 생약연구소 설치(개성)
1930. 04조선약학교가 경성약학전문학교로 승격
1927. 조선약학교, 2년에서 3년으로 학제 변경 고려약제사회 창립
1919. 06조선약학강습소(1년제 야간)를 폐쇄하고 조선약학교(2년제) 창립 개교 조선약학교 교사 신축(훈련원 자리)하고 이전
1915. 06조선약학교의 전신인 조선약학강습소(藥種商 양성, 야간) 창립(장교동 장훈학교 안에 두었다가 3년 후 발전적 폐교)
1914. 01조선약학회 창립(조선약제사회 발전적 해산)
1910. 조선총독부 경무국 위생시험소 설립 발족
1904. 12. 23우리 나라 최초로 유세환이 약사가 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의 무단 수집을 거부합니다.
대한약학회는 악성프로그램에 대해 강력히 법적 대응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 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에서 보낸 것으로 오해하도록 작성한 이메일 발송시에도 법적조치를 취할 것임을 알려드립니다.